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정보

나무의사가 되어보자! 2025년 수목치료기술자 및 나무의사 양성과정 일정 완전 정리

by 자기계발연구소 2025. 7. 18.
반응형

2025년에도 도시녹지와 생활권 수목 건강을 지키는 전문가, 나무의사와 수목치료기술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자격은 단순한 식물 관리 기술을 넘어 병해충 진단·치료와 관련한 전문성을 요구하며, 일정 교육을 이수하고 국가가 시행하는 자격시험을 통과해야 취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산림청이 공지한 2025년 나무의사 및 수목치료기술자 양성과정 운영 기관별 일정과 특징, 신청 시기, 교육비 등 실전 정보를 정리해드립니다.


나무의사와 수목치료기술자, 자격 차이부터 확인하세요

두 자격은 유사하지만 역할과 진입 조건이 다릅니다.

자격 구분 주요 역할 응시 조건 시험 방식

나무의사 수목 진단, 병해충 처방, 치료 계획 수립 관련 전공 또는 실무 경력 필요 필기+실기 시험
수목치료기술자 나무의사의 지도 아래 수목 치료 수행 학력 무관 (고졸 이상) 자체 평가 시험 (교육기관 내 진행)

※ 나무의사는 반드시 양성기관 이수 후 산림청 시행 자격시험에 합격해야 하며, 수목치료기술자는 각 기관의 수료시험을 통과하면 자격이 부여됩니다.


2025년 나무의사 및 수목치료기술자 양성과정 일정 한눈에 보기

가장 최근 산림청 자료 기준으로, 대표 양성기관들의 교육 일정을 아래 표로 정리했습니다.

기관명 과정 교육 기간 모집 공고 교육비

동아대학교 수목치료기술자 9기 3.22 ~ 6.14 (주말반) 2.17 200만원
  수목치료기술자 10기 9.6 ~ 12.6 (주말반) 8.4 동일
충남대 수목진단센터 수목치료기술자 8.16 ~ 11.23 (주말 주간반) 7.1 ~ 8.6 약 190만원
  나무의사 2월 중 개강 예상 2024년 말 약 180만원
경상국립대학교 나무의사 15기 3.8 ~ 6.14 1.2 미정
  나무의사 16기 6.28 ~ 9.27 5.1 미정
공주대학교 수목치료기술자 7기 8.2 ~ 12.13 6.26 미정
  나무의사 7기 2.1 ~ 5.10 1.3 ~ 1.9 미정
국민대학교 나무의사 3.29 ~ 6.28 (11주) 별도 공고 없음 미정
한국수목보호협회 나무의사 43기 3.5 ~ 4.4 별도 공고 없음 미정
충북 산림환경연구소 나무의사 6.2 ~ 8.23 (월·화 비대면, 토 대면) 12.11 ~ 12.17(2024년) 112만원
전북대학교 나무의사 14기 / 수목치료기술자 미정 미정 미정

※ 위 교육 일정은 각 기관 상황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으며, 반드시 기관별 공지사항을 통해 최종 확인 필요합니다.


교육 수강 자격과 신청 요령

각 과정은 입문 난이도와 진입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지원 전 본인의 경력과 전공을 점검해야 합니다.

구분 지원 조건 유의사항

나무의사 산림·조경·생물 관련 전공자 또는 실무 2년 이상 경력자 교육 이수 후 국가시험 응시 자격 부여
수목치료기술자 고등학교 졸업 이상 누구나 가능 양성기관 자체 시험 통과 후 자격증 부여

※ 나무의사 응시 자격이 애매할 경우, 먼저 수목치료기술자 과정을 이수해 경력으로 전환하는 방식도 가능합니다.


교육 구성과 커리큘럼 특징

나무를 진단하고 관리하는 실무 중심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실습 비중도 높은 편입니다.

과정 교육 내용 총 교육 시간

나무의사 수목병리학, 해충학, 생리학, 진단 실습, 법규 등 150시간 이상
수목치료기술자 수목 병충해 관리, 약제 사용, 전정 실무, 안전 교육 등 100~120시간

※ 주말반·평일야간반 등 선택 가능하며, 일부 기관은 온라인 병행 수업을 제공합니다.


교육비는 어느 정도 예상해야 할까요?

2025년 기준, 교육비는 기관별 차이가 있으며 다음 범위 내에서 형성됩니다.

과정 평균 교육비 비고

나무의사 160만~200만 원 일부 기관 112만원 (공공기관 운영 시)
수목치료기술자 100만~200만 원 시간당 단가 1.2만원 내외

※ 국민내일배움카드 적용 기관은 제한적이며, 일부 지자체는 자체 보조금 사업을 운영하므로 해당 시·군 문의 필요


나무의사 자격, 취득 후 어디에 활용될까요?

  1. 공원수·가로수 진단 및 관리 용역 업체 창업
  2. 지자체 산림보호 관련 공무직 및 기간제 채용 시 가산점
  3. 정원관리업체, 조경회사, 수목병원 등으로 취업
  4. 귀촌 후 마을 숲 관리 위탁 운영

특히 은퇴 후 ‘정년 없는 생태전문가’로 진로를 찾는 중장년층에게도 인기가 높습니다.


주요 양성기관 연락처 정리

기관명 연락처 홈페이지

서울대 식물병원 02-880-4697 snuphc.snu.ac.kr
한국수목보호협회 02-401-7787 treedoctor.or.kr
국민대 산학협력단 02-910-6399 treecare.kookmin.ac.kr
충남대 수목진단센터 042-821-7880 cnutreehospital.com
강원대 수목진단센터 033-250-7225 jindan.kangwon.ac.kr
충북 산림환경연구소 043-220-6172 midongsan.chungbun.go.kr
공주대 산학협력단 041-330-1200 -
전북대 산학협력단 063-219-5238 top.jbnu.ac.kr/treejbnu
순천대 산학협력단 061-750-3957 scnu.ac.kr/planthospital
동아대 융합디자인연구소 051-200-5775 -
경북대 농업생명과학대 053-950-5987 -
경상대 수목진단센터 055-763-1838 -

《 함께 보면 좋은 글 》

 

2025 평생교육이용권 사용처 꼭 알아야 할 알짜 정보

2025년에도 평생학습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정부가 지원하는 평생교육이용권(바우처)은 학습 기회가 부족한 계층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제도인데요. 하지만 여전히 “어디

haru905.99k.kr

 

목공 기술 배우기: 기초부터 전문가까지

📋 목차목공의 역사와 문화기본 목공 도구와 사용법목재의 종류와 선택 요령목재 결합 기법 배우기마감 기술과 표면 처리초보자를 위한 목공 프로젝트FAQ목공 기술은 단순히 나무를 가공하는

haru905.99k.kr

반응형